고구려시기에 태양흑점 관측, 유럽보다 1천년 앞서

                    태양 흑점(왼쪽)과 1151년 3월 ‘고려사’ 흑점 기록

 

우리 나라의 문화유산들가운데는 고구려의 천문기상관측기술도 있다.

고구려에서는 천문기상관측을 평양성에 설치한 첨성대에서 전문가들에 의해 정기적으로 진행하였다. 고구려 천문대의 유적이나 유물은 남아 있지 않으나, 조선 초의 두 지리지는 그 때까지 그 유적이 있었음을 말해주고 있다. <세종실록>의 지리지에는 평양부에 첨성대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고, <동국여지승람>에는 “첨성대의 유적이 평양부의 남쪽 3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구려에서는 천문관측을 전문으로 맡은 <일자>라는 직제가 있었고 그들이 태양을 비롯한 천체를 관측하였다. 이에 기초하여 5세기말~6세기초에는 돌판우에 별자리들을 새긴 석각천문도를 만들어내었다.

1145년에 편찬된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일식관계기사, 혜성관계기사 등이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주목되는것은 640년(영류왕 23년) 9월에 태양흑점을 관측하였다는 기사이다. 그 내용은 <가을 9월에 해빛이 없어졌다가 3일 지나서 다시 밝아졌다.>고 되어 태양표면의 이변을 관측한 기록임이 분명하다.

이 기록은 우리 나라 천문학사에서 제일 처음으로 태양흑점을 관측한 귀중한 사료로서 유럽에 비해 근 1 000년이나 앞섰다. 서양에서는 1611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관측했다고 알려져 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