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의 건축술을 자랑하는 가학루

 

민족의 건축술을 자랑하는 가학루

가학루는 조선왕조때 안변객사의 부속건물로 지은 다락집으로서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있다.

가학루는 뒤로 학성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남대천이 흐르며 무연한 안변벌을 굽어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안변의 역사를 쓴 책인 <학성지>에 의하면 가학루는 738년-742년에 처음 세워졌다. 그후 1486년(성종17년)에 개축하였다.

우리 나라를 강점한 일제침략자들의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훌륭한 건축술로 잘 지은 학성관의 주요건물들은 다 없어지고 가학루만 겨우 남았다.

가학루란 학이 날아와 앉은것 같은 누정이라는데서 생긴 이름이다. 이 벌판에 학이 많았다.

가학루는 봉건관료들이 지방에 나갔을 때에 머무르던 안변의 객사인 학성관의 연회장이었다.

객사라는것은 조선왕조시기 지방고을에 출장가는 벼슬아치들을 대접하고 숙박하게 하기 위하여 마련한 집으로서 관청건물의 하나이다.

누정 가학루는 다듬은 긴 돌로 나지막하게 쌓은 밑단우에 세운 정면 3칸, 측면 3칸의 포식두공을 얹은 겹처마합각집(합각지붕건물)이다.

기둥은 정면과 측면에 다같이 고르게 배치하였는데 마루를 사이에 두고 위, 아래를 이어 16개를 세웠다.

2층다락 마루는 대창도 굵고 소창과 널판도 모두 두툼하여 듬직하다.

이 누정에서는 두공조직이 특이하다.

두공은 안팎 다 3포로 짜올렸다.

제공은 닫긴형으로 되여있어 제공과 첨차의 형태가 같다.

가학루에서는 기둥과 보의 물림에서도 특색을 찾아볼수 있다. 그것은 앞쪽 중심기둥은 머리부분에 대들보끝을 물리고 곧추 올라가 동자기둥을 대신하여 중도리를 받들게 하고 뒤쪽 중심기둥은 대들보밑을 받치고 그 기둥우로 건너간 대들보우에 동자기둥을 세워 중도리를 받치게 한것이다.

중도리와 물린 중보우에는 마루도리를 떠받드는 대공을 얹었다.

대공은 조각장식이 소박하고 간결하나 건물의 억세기를 높이고 안정감을 자아내게 한다.

천정은 통천정을 하였다.

중도리안쪽을 좁히고 정연하게 배치된 서까래와 부채살서까래가 드러나보이는 통천정은 시원하면서도 아름답다.

소박하고 간결한 모루단청을 입힌 가학루는 전반적으로 균형이 잘 잡히고 아담하게 꾸려졌다.

다락집으로서는 보기 드물게 안팎의 포수가 꼭 같은것, 두공조각의 기법과 배부른 두리기둥 등은 고려시기의 건축수법을 많이 이어받은 조선봉건왕조초기의 건축기술을 뚜렷이 보여주고있으며 건물의 짜임새와 지붕의 곡선미는 주위환경에 잘 어울린다.

가학루는 코리아전쟁시기 폭격으로 많은 피해를 입었으나 1957년에 원상대로 복구되어 국보적유적으로 잘 보존관리되고 있으며 근로자들의 즐거운 문화휴식터로 널리 이용되고있다.

76 Replies to “민족의 건축술을 자랑하는 가학루”

  1. To understand present dispatch, follow these tips:

    Look in behalf of credible sources: https://marinamarina.co.uk/articles/why-did-it-take-more-than-a-week-for-the-news-of.html. It’s eminent to guard that the newscast outset you are reading is respected and unbiased. Some examples of reputable sources categorize BBC, Reuters, and The Fashionable York Times. Review multiple sources to pick up a well-rounded understanding of a discriminating statement event. This can improve you get a more ended facsimile and escape bias. Be in the know of the perspective the article is coming from, as even respected hearsay sources can have bias. Fact-check the gen with another origin if a scandal article seems too unequalled or unbelievable. Many times make unshakeable you are reading a known article, as expos‚ can change quickly.

    Nearby following these tips, you can fit a more au fait dispatch reader and more intelligent be aware the world around you.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