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훌륭한 민속전통 정월대보름 민속을 버리면 민족을 잃는다

정월대보름은 설명절 다음에 오는 민속명절이다.

정월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을 민속명절로 이르는 말이다.  설명절 다음에 맞는 보름이라는데사 유래되었으며《상원》이라고도 하였는데 그것은 새해에 들어서서 처음으로 맞는 보름으로 쓰인 말이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선조들은 정월대보름을 이미 삼국시기에도 쇠었으며 고려시기에는 정월대보름이 년중 크게 쇠는 명절의 하나로 되어 있었다.

정월대보름명절은 보통 14일부터 시작되였는데 14일은 《작은 보름》, 15일은 《큰 보름》, 《대보름》이라고 하였다.

이날에는 민속놀이를 비롯한 다채로운 행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달맞이와 홰불놀이를 하고 대보름날 저녁에는 모두 산에 올라 솟아오르는 쟁반같은 둥근달을 구경하였다.

북에서는 오랜 역사적과정을 통하여 형성되고 공고화된 자기의 고유한 민족적전통, 민속적으로 전해오는 좋은 관습들에는 민족성에 바탕을 두고 민족의 고상하고 아름다운 정신적풍모와 사상감정과 예의도덕, 우리민족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정서, 고유한 기호, 특성이 반영되어있다고 강조한다.

북은 민속을 버리면 민족을 잃어버릴수 있다는 선대지도자들의 가르침을 귀담아 민속문제가 민족의 존망과 이어진 것임을 잘 이해 계승하고 적극 살려 발전시켜 나가면서 민족성을 고수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보름을 맞아 북의 매체들은 대보름날의 독특한 음식으로 오곡밥과 약밥, 복쌈, 나물반찬, 국수, 술 등이 있었다면서, 정월대보름날 쌈을 싸먹으면 복이 있다고 하여 이날에 먹는 쌈을 복쌈이라고 불러왔다고 전했다. 그리고 오이꼭지, 가지껍질, 무우잎, 배추잎 같은것도 버리지 않고 말리워두었다가 정월대보름날 국을 끓여먹으면 그해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면서,

또한 정월대보름날 아침에 마른나물로 반찬을 해먹으면 그해에 앓지 않는다고 하여 주로 돌버섯, 고추잎, 구기자잎, 고사리, 고비, 두릅 등 검정색나물들과 함께 호박, 도라지, 가지를 비롯하여 아홉가지 묵은 나물을 볶거나 무쳐서 먹는것이 하나의 풍습이라고 소개했다.

또한 이날에 하는 민속놀이로는 연띄우기, 바줄당기기, 바람개비놀이 등이 있었는데 초겨울부터 시작된 연띄우기는 정월대보름때에 이르러 대성황을 이루곤 하였다며,

예로부터 이날에는 하루종일 연을 띄우다가 저녁때가 되면 연줄에 불심지를 매달아 띄웠다. 그러면 그 불심지가 타들어가 연줄을 끊게 된다고 설명했다.

매체는 이처럼 민속명절풍습에서도 우리 민족은 낙천성과 정갈한 생활기풍을 찾아볼수 있다며 고유하고 우수한 민족적전통을 적극 살려 나가는것은 나라에서 일관되게 중요시 하는 방침이라고 상기 하였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