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중국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양제츠 중국공산당 외교 담당 정치국 위원이 21일 오후 부산 강서구 김해국제공항으로 입국하고 있다.
21일발 연합뉴스는 양제츠 중국 공산당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21일 오후 부산에 도착, 1박 2일간의 방한 일정을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다른 면에서 연합뉴스는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원이 방한 전 리셴룽(李顯龍) 싱가포르 총리와 만나 미국을 겨냥해 국제 협력과 정의를 강조하고 “중국은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정, 발전, 번영을 위해 새로운 공헌을 하겠다”고 밝혔음을 전한 바 있다.
뉴스는 양 정치국원의 방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중국 고위급 인사의 첫 방한이라며,
서훈 국가안보실장의 초청으로 방한한 양 정치국원은 22일 오전 서 실장과 회담에 이은 오찬 협의를 통해 한중 간 코로나19 대응 협력, 고위급 교류, 한반도 정세 등에 대해 논의한다고 전했다.
회담에서는 특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문제 등도 논의될 전망이라고 알렸다.
뉴스는 한중 양국은 애초 올해 상반기 시 주석의 방한을 추진하다가 코로나19 사태로 이를 미룬 상태라며,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지난 19일 기자들과 만나 “시 주석 방한 문제도 회담의 주요 의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양국은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돼 여건이 갖춰지는 대로 시 주석의 방한이 적절한 시기에 성사될 수 있게 협의해 왔다”고 강조했다.
뉴스는 이어 외교가에서는 이번 회담을 계기로 시 주석 방한이 성사되면 한중관계가 진일보할 수 있으나,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양 정치국원이 이 문제를 테이블 위에 올리면 한국 정부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며,
미중이 경제·기술·인권·안보 등 영역에서 충돌하는 가운데 홍콩보안법, 남중국해 문제 등 현안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설명하고 한국에 최소한 중립적 태도나 중국 지지를 요청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기사 출처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