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미향 의원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은 ‘2018년 주한미군 주변지역 환경오염조사 결과’ 를 발표했다.
현재 오염토양 정화조치를 하고 있는 인천 부평 미군 캠프 마켓의 주변지역이 석유계총탄화수소(TPH), 납(Pb), 구리(Cu), 카드뮴(Cd), 아연(Zn) 등에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캠프 마켓은 지난 2017년 환경부에서 다이옥신 오염을 조사한 결과, 7개 조사지점의 토양시료에서 1,000 피코그램(pg-TEQ/g)을 초과했으며, 초고농도는 기지북쪽 경계 부근의 1~3m 깊이에서 10,350pg-TEQ/g이 검출되기도 했다.캠프 마켓 A구역의 주변지역인 굴포천을 따라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기준치의 31배인 15,560mg/㎏이 검출됐다. 납(Pb)은 무려 기준치의 123배가 넘는 86,334.7mg/㎏, 구리(Cu)는 77배에 이르는 11,649.9mg/㎏이 나왔다. 또 카드뮴(Cd)은 7.28배, 아연(Zn)은 6.6배가 높게 검출됐다.
윤미향 의원실에서는 각 언론사에 다음과 같은 [2020국정감사 보도자료’를 내보냈다.
토양오염 정화 중인 부평마켓, 주변지역 오염도 ‘심각’
2018년 주변지역 조사결과, TPH 기준치 31배, 납 123배 등 검출
부평구, 지난 6월 국방부에 정화조치 명령… 국방부는 검토 중
윤미향 의원 “미군기지 주변지역 오염은 국민 생명과 안전
직결된 문제… 투명하게 정보 공개하고 철저히 정화해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미향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이 환경부에서서 제출받은 ‘2018년 주한미군 주변지역 환경오염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오염토양 정화조치를 하고 있는 인천 부평 캠프 마켓의 주변지역도 석유계총탄화수소(TPH), 납(Pb), 구리(Cu), 카드뮴(Cd), 아연(Zn) 등에 심각하게 오염된 것으로 드러났다.
캠프 마켓 A구역의 주변지역인 굴포천을 따라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기준치의 31배인 15,560mg/㎏이 검출됐다. 납(Pb)은 무려 기준치의 123배가 넘는 86,334.7mg/㎏, 구리(Cu)는 77배에 이르는 11,649.9mg/㎏이 나왔다. 또 카드뮴(Cd)은 7.28배, 아연(Zn)은 6.6배가 높게 검출됐다.(아래 사진 그림 1 참조)
이와 관련해 부평구청은 지난 6월 국방부에 캠프 마켓 A,B구역과 그 주변지역의 오염토양 정화조치 명령 공문을 보냈으며, 2022년 6월14일까지 이행보고서를 제출해 달라고 요구했다. 국방부는 “캠프마켓 주변지역 오염정화는 「토양환경보전법」에 의거 오염원인자 확인 후 정화책임자(원인자)가 정화하게 되어 있어 이에 대한 검토가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캠프 마켓은 다이옥신류 등 복합오염되어 있는 A지역(DRMO부지), 중금속·유류로 오염된 B지역(일반행정 부지), 오수정화조 부지인 C지역, 반환되지 않은 빵공장 부지 D지역으로 구분돼 있다. 국방부에 따르면, A지역은 복합오염토양은 2019년 6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B지역은 지난 9월부터 실시설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2021년 12월까지 정화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18·2019년 조사지역 중 9곳씩 기준치 초과 검출
환경부는 2018년 주한미군 주변 지역 환경오염조사에서 캠프마켓과 함께 칠곡 캠프 캐롤, 의정부 캠프 시어즈, 천안 하이포인트, 부산 동구 55보급창, 대구 남구의 캠프 헨리·캠프 워커·캠프 워커 H-805, 평택 캠프 험프리가 적용기준을 초과한 물질이 나와, 해당 지자체에 조사 결과와 오염 정화조치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환경오염조사만 하고 오염된 토양, 지하수에 대한 정화조치는 해당 지자체가 맡고 있어서다.
지난 2011년 환경오염 사고가 났던 칠곡 캠프 캐롤에선 지하수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TPH) 6.319mg/L이 검출됐으며, 이는 적용기준(1.5mg/L)의 4.21배에 달한다. 또 페놀은 적용기준인 0.005mg/L의 2.2배가 이르는 0.011mg/L가 나왔다.
대구 남구의 캠프 워커와 캠프 워커 H-805, 평택 캠프 험프리에서는 토양뿐 아니라 지하수에서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이 적용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
또 2019년 주한미군 주변지역 환경오염조사 결과에선 태백 필승사격장, 포천 신북릴레이, 포항 캠프 무적, 동두천의 캠프 케이시·캠프 캐슬, 평택 CPX 훈련장, 김천DLA, 오산에어베이스, 수원비행장에서 적용기준 초과물질이 검출됐다.
동두천 캠프 케이시 주변지역의 지하수에는 물질인 테트라클로로에틸렌(PCE)이 기준치(0.01mg/L)의 1.2배인 0.012mg/L가 나왔으며, 토양에선 석유계총탄화수소(TPH)가 5배가 넘는 10,134mg/㎏이 나왔다.
오산에어베이스 주변 토양에서는 TPH가 기준치의 8.56배, Zn이 9.18배가 나왔으며, 수원비행장에서도 TPH가 3.3배, Zn이 4.15배, As가 4.5배 이상 높게 나왔다.
이와 관련해 윤미향 의원은 “부평 캠프마켓은 반환받기 전 다이옥신이 독일 기준의 100배 이상이 검출됐고, 칠곡 캠프 캐롤은 2011년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비소, 페놀 등의 독성물질이 나와 문제가 됐기도 했다”라며 “캠프마켓은 주변지역의 심각한 오염이 확인된 만큼, 현재 진행하고 있는 기지 안 정화와 함께 진행하는 게 마땅하다”라고 밝혔다. 이어 “주한미군기지와 주변지역 오염 문제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문제”라며 “환경오염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철저히 정화해야 한다. 또 오염원인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미국이 오염된 주한미군기지의 정화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