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성 리포트] 흉물로 전락한 산림, 분진과 악취에 시달리는 시멘트 공장 마을 주민들
|
▲ 거대한 산봉우리가 싹둑 잘려나갔다. 왜일까?… 시멘트를 만들기 위해 석회석을 캐내는 충북 단양의 한일시멘트 광산이다. |
ⓒ 신병문 |
|
▲ 도시의 아파트 숲은 강원도의 산봉우리가 잘려나간 대가이다. |
ⓒ 최병성 |
우리는 시멘트로 지은 아파트에 살고, 시멘트로 포장된 길을 걷고, 시멘트로 지어진 건물의 사무실에서 일을 한다. 하루 24시간을 시멘트와 가까이 하면서도 우리는 시멘트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잘 알지 못한다. 시멘트가 어디서 오는지 한번 살펴보자.
우리나라엔 강원도 동해에 쌍용양회, 삼척에 삼표시멘트, 옥계에 한라시멘트, 영월에 한일현대시멘트가 있고, 충북 단양에 한일시멘트와 성신양회가 있다. 삼표시멘트가 1957년, 쌍용양회가 1962년에 시멘트공장을 시작했으니, 대한민국의 시멘트공장 역사는 약 60~70년에 이른다.
시멘트를 만들기 위해 지금까지 60~70년간 석회석을 채굴해온 강원도와 충청북도의 광산 모습은 어떨까?
|
▲ 백두대간 중심부인 자병산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
ⓒ 최병성 |
영월 배거리산에 있는 한일현대시멘트 광산 길이가 1.3km, 영월 주천면 다래산 아세아시멘트 광산 길이가 1.7km이고, 단양의 한일시멘트와 성신양회 광산 둘을 합해 4.4km에 불과하다.
|
▲ 한라시멘트 시멘트 생산량. 개별공장 단위로 계산하면 생산량이 거의 골찌라고도 할 수 있다. |
ⓒ 한국시멘트협회 |
우리나라가 가진 자원 중 가장 풍부한 것이 석회석이다. 그런데 국내 제철소들은 매년 많은 양의 석회석을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수입한다. 철을 만드는 용광로에 석회석이 투입되는데, 국내 석회석은 품질이 낮아 고품질의 석회석을 중국과 일본에서 수입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시멘트의 발암물질 전환율은 20~30%로 일본(10~15%)에 비해 두 배나 높다. 석회석 성분 중에 좋은 시멘트가 되는 칼슘 성분이 낮고, 발암물질로 전환되는 알루미나 성분이 높기 때문이다.
자병산은 백두대간의 중심부에 있다. 하지만 지금은 복구 불가능할 만큼 망가졌다. 시멘트공장은 석회석을 캐내 돈을 벌었지만, 자병산은 흉물스럽게 망가졌다.
|
▲ 혹시 만화영화에 나오는 마의 성일까? |
ⓒ 신병문 |
|
▲ 채굴한 석회석을 실어나르는 대형트럭들이 매우 작게 보인다 |
ⓒ 최병성 |
|
▲ 햇살 바르고 아름다운 서강이 흐르는 곳이지만, 시멘트광산으로 인해 사람들이 거의 살지 않는다. |
ⓒ 신병문 |
|
▲ 이 광산 복구 계획은 무엇일까? 시멘트공장에서 하얀 분진이 연기처럼 마구 뿜어내고 있다. 바로 곁은 도담삼봉 관광지인데. |
ⓒ 최병성 |
|
▲ 도담삼봉이 있는 남한강. 그러나 바로 곁에 성신양회와 한일시멘트에서 시멘트 분진을 뿜어내고 있고, 석회석 광산이 흉물스럽다. |
ⓒ 최병성 |
최근 영월에서는 주민들을 황당하게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쌍용양회가 지난 1962년부터 채굴한 후 방치해두었던 폐광산에 전국에서 모아 온 산업폐기물 매립장을 만든다는 것이었다.
‘쌍용양회’는 영월군 서면 쌍용리에서 시작해 ‘쌍용양회’라는 회사명을 붙였다. 지금은 쌍용그룹이 해체되었지만, 이곳의 석회석을 파내 시멘트를 만들며 쌍용그룹으로까지 성장했었다.
그러나 시멘트공장을 만들어 쌍용그룹으로 성장하는 동안 쌍용리는 시멘트공장에서 날아오는 분진과 악취로 사람이 살기 힘든 마을로 전락했다.
|
▲ 쌍용광산. 이곳에 국내 3번째로 큰 산업폐기물 매립장을 건설할 예정이다. 54일간의 장맛비가 며칠만에 빠져 나갔다. 서울과 수도권 시민들의 식수가 위태롭다. |
ⓒ 최병성 |
심지어 5km 반경 내에 한일현대시멘트와 아세아시멘트가 모여 있다. 여기에 매립장까지 더해진다면 이곳은 더 이상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될 것이다.
|
▲ 쌍용양회가 축구장 25개 면적의 국내 3번째로 큰 매립장을 추진하고 있다. 인근에 쌍용양회뿐 아니라 아세아시멘트, 한일현대시멘트 공장이 있다. 주민들은 살 수 없는 고통에 시달리게 될 것이다. |
ⓒ 신병문 |
“목구멍에 손가락을 넣어 가래를 꺼내고 싶다.”
벌써 수년이 흘렀지만, 피눈물로 외치던 주민들의 절규가 아직도 귀에 생생하다. 시멘트 분진으로 인한 가래를 항상 목에 달고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뱉고 싶어도, 아무리 뱉으려 노력해도 목구멍 저 안쪽에서 그렁거리며 나오지 않는 가래로 인해 고통당하고 있었다.
|
▲ 시멘트공장들은 1450도 고온이라 공해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사진에서 보듯 백연 이외의 비정상적인 환경오염 물질이 계속 배출되고 있다. |
ⓒ 최병성 |
강원연구원은 “시멘트 생산에 따른 지역의 피해규모 추정”(2017.5.)에서 시멘트공장의 시멘트 생산으로 인해 주변 지역에 연평균 3245억 원의 피해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그 중 정신적·건강적 피해규모만도 약 1192억 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시멘트공장들은 쓰레기로 시멘트를 만들며, 시멘트 판매뿐 아니라, 쓰레기 처리비로 막대한 이윤을 남겨왔다. 심지어 시멘트공장들은 쓰레기시멘트를 만들며 전국의 쓰레기를 치워준다는 이유로 환경부로부터 온갖 배출가스 특혜를 누려왔다. 전 세계 시멘트 공장 중에 대한민국 시멘트공장과 같은 배출가스 특혜를 누리는 곳이 없다.
그 덕에 ‘전국의 오염물질 배출량 다량 배출사업장’ 상위 20개 중에 쌍용양회 동해공장(8위), 삼표시멘트(10위), 한라시멘트(11위), 한일시멘트(13위), 성신양회(15위), 아세아시멘트(17위), 한일현대시멘트(19위), 쌍용양회 영월공장(20위) 등 총 8개 공장이 포함되어 있다.
|
▲ 시멘트공장 뒷편 산엔 시멘트 가루가 하얀 눈처럼 덮여 있다. 이러고도 TMS는 항상 정상이다. 공장 너머의 광산들이 흉물스럽다. |
ⓒ 신병문 |
언제까지 시멘트공장의 환경오염을 방치할 것인가? 시멘트 공장들은 일부 석회석 광산에서 복원 흉내만 내고 있을 뿐이다. 채굴 종료 후 복원이 가능한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손가락을 넣어 가래를 꺼내고 싶다는 주민들의 절규가 멈출 수 있도록 정부와 관계 기관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출처: 오마이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