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비전향장기수의 특별한 하루 87세생일 박희성선생 美대사관 1인시위로 자축

박희성선생 87세생일 美대사관 1인시위

 

오늘은 기쁜날!

비전향장기수 박희성 선생이 24일 87세 생일을 맞아 미대사관 앞에서 1인시위로 생일 잔치를 자축(自祝)했다.

한달여전인 2월 18일 미대사관 앞에서 세상에서 가장 슬프고 아름다운 시위를 한 터였다북에 두고 온 한살배기 아들 동철이 환갑을 맞은 특별한 날아들에 대한 애절한 그리움을 억누르며 분단과 이산의 원인을 제공한 미국을 준엄하게 꾸짖는 아메리카NO 국제평화행동’ 시위를 벌인 것이다.

2월 18일 아들 환갑날에 미대사관 앞에서 시위하는 박희성선생

 

일점 혈육(血肉)이 없는 남쪽에서 그이는 생일을 챙겨본 기억이 없다미국만 아니었다면 전쟁도 없었을테고 하나의 겨레가 이렇게 장구한 세월 서로를 그리워하며 떨어져 지낼 일도 없었을 것이다.

그런 미국이 주한미군이 온갖 특혜속에 공짜땅을 쓰며 주둔하는 것도 모자라 천문학적인 방위비 분담금을 챙겨간다는 소식에 그이는 생일날 또 나서게 됐다. ‘코로나시국에 13.9% 인상 웬말이냐주한미군주둔비 단한푼도 줄수 없다고 쓰인 배너를 들고 선 박희성 선생과 함께 동료 비전향장기수 양희철 선생이 함께 했고 통일로’ 이정민회원그리고 캐나다동포 오경희씨가 응원차 합류했다.

박희성 선생은 미대사관 앞에서 피켓 시위로 생일잔치를 대신했지만 사실 이날 양심수후원회 만남의집에선 ‘깜짝파티’를 준비하고 있었다평상시처럼 저녁을 준비하려 한 선생은 정성혜 사무국장과 직원들이 분주히 잔치상을 준비하자 어리둥절한 모습이었다.

불고기와 생선회굴전생선전부추전 장충동족발에 미역국 등 푸짐한 생일상이 뚝딱하고 만들어졌다김호현 양심수후원회이사장이 아름다운 꽃바구니와 복분자술 샴페인도 들고왔고 맏형격인 양원진(93) 선생과 김영식(89) 선생 양희철(88) 선생도 함께 했다주인공은 박희성 선생이었지만 기실 모든 비전향 장기수선생들을 위한 자리였다그래서 케잌에도 4개의 촛불이 켜졌고 커팅도 장기수 선생들이 다정히 손을 잡았다.

왼쪽부터 양희철선생 양원진선생 박희성선생 김영식선생

 

박희성 선생은 뭐라고 감사의 말씀을 드리면 좋겠는지오늘 간단한 저녁식사 하는줄 알았는데 이렇게 잔치상을 차려주니 몸둘 바를 모르겠다내가 건강해서 조국통일하는데 앞장서고 꼭 살아서 꿈에도 잊지못하는 고향에 돌아가라는 뜻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해 주위를 숙연하게 했다.

양희철 선생은 박희성 선생은 열여섯에 소년병으로 입대하고 열여덟에 입당을 했다우리 함께 불굴의 정신으로 통일을 위해서 목숨을 다하는 날까지 복무하겠다고 말해 박수를 받았다.

동료 김영식 선생은 늘 조국과 민족을 위해 열성적으로 일한걸 너무도 고맙게 생각한다낙성대 와서도 집안을 너무도 깨끗이 하고 잘해서 정말로 좋다건강하게 있다가 꼭 가족품으로 가기를 바라고 생일 축하드린다고 덕담을 했다.

양희철 선생은 박희성 선생과는 62년도 영등포 포로수용소와 68년도 전주교도소로 이감(移監됐을 때 한방에서 같이 생활한 인연이 있다오늘 처음 얘기하는데 박희성 선생은 천재다기억력도 좋을뿐만 아니라 모든 사물과 사안에 대한 판단과 결정을 누구보다 빨리 한다그런 동기인데 교도소 나와서 만남의집에서 또 만나게 됐다고 특별한 인연을 소개하고 꼭 살아서 사랑하는 아들 동철을 만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김혜순 후원회장은 그리운 가족에게 돌아가려는 마음으로 지금까지 사신것이고 그 마음이 저희들에게도 전해진 것이라고 생각한다선생님이 당원 가입 70주년인 내년엔 고향에서 맞기를 소원하시는만큼 어떡하든 고향에 보내드리려고 한다부디 건강하시길 바란다고 축하인사를 전했다.

이어 선생들은 젊은날의 이야기 등 옛 추억을 돌이키며 화기애애한 담소를 이어나갔다박희성 선생이 북에서 나오기 직전 노동절에 평양 옥류관에서 냉면 먹은 이야기를 꺼내자 김호현 이사장은 “2006년에 옥류관에 가서 평양냉면을 혼자서 다섯그릇을 먹었는데 2007년에 다시 가니까 옥류관 종업원들이 냉면선생 또 오셨다고 반가워하더라는 에피소드를 소개해 웃음보가 터지기도 했다.

축하잔치에 노래가 빠질 수 없었다박희성 선생이 우렁찬 목소리로 선창(先唱했고 양희철 선생은 중국 노래로 이어나갔다김영식 선생은 흥겨운 춤사위와 함께 남북통일을 염원하는 노래로 분위기를 띄웠다.

이어 김혜순 회장이 율동을 곁들여 민요풍의 노래로 박희성 선생에게 듬뿍 애정(?)을 표현해 큰 박수와 웃음을 자아냈다.

두권의 시집을 낸 시인 양희철 선생은 자연의 봄은 지금 오고 있지만 우리가 기다리는 봄은 아직 오고 있지 않다는 말과 함께 신석정 시인의 산문시 봄이 올때까지를 낭송(朗誦)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달 박희성 선생이 아들 환갑기념으로 1인시위를 했을 때 자작시 박희성동지의 절규를 낭송했던 양희철 선생은 겨울이 오기전에 우리는 문주란과 글라디올라스 이런 꽃들을 한방에 모아 놓는다이 꽃들은 감방에 둘러앉은 우리같은 정치범 죄수들을 상징한다신석정시인이 1950년대 정치범으로 투옥됐다가 나오자마자 지은 미발표시다라고 소개했다.

바이올리니스트이기도 한 캐나다 동포 오경희 씨는 이날 자신이 연주한 세레나데 오브 스프링(시월의 멋진 날에)’에 맞춰 노래를 하는 등 시종 흥겨운 분위기가 이어졌다.

정성혜 사무국장은 박희성 선생님을 비롯해 장기수 선생님들은 그 혹독한 고초(苦楚)가 느껴지지 않을만큼 ‘90청년’들로 보인다그것은 그리운 고향신념의 고향에 가고야 말겠다는 의지때문일 것이다언젠가는 박희성 선생님과 함께 고향 해주와 장전에 꼭 가겠다고 말했다.

아래는 정성혜 사무국장이 페북에 올린 글이다.

세상을 살다보면 의도하지 않아도 물 흐르듯이 흘러 만나는 인연이 있는 것 같습니다.

양심수후원회 일을 시작하기 전에 며칠동안 잠을 못잘 정도로 엄청나게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제가 했던 통일 사업 분야도 아니고 오랜 시간 남북관계 악화로 많이 아파했고 힘들었는데장기수 선생님들의 슬픔을 감당할 자신이 없었습니다.

면접 당일날까지 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그런데 우연히 면접 당일날 광화문에서 No아메리카 기자회견 후 끝나고 점심을 먹고 장기수 박희성 선생님과 같이 만남의 집에 오게되었습니다.

그날 이전에 박종린 선생님 장례식장다른 장례식장에서 연달아 선생님을 뵈어서 더 친근했습니다.

면접날 만남의 집으로 둘이 오면서 선생님의 이야기도 듣고 선생님 덕분에 처음 오는 만남의 집이 낯설지 않았습니다만약 그날 선생님을 만나지 않았으면 쉽게 결정하지는 못 했을 것 같습니다.

박희성 선생님은 성격이 아주 깔끔하십니다섬세하시고 감성적인 부분도 있으십니다아마 그래서 60년 전의 해주에서의 두돌도 안 된 아들과의 추억을 생생히 기억하시는 것 같습니다.

40년 전 교도소에서 취득하신 국가기술자격증의 젊은 중년의 선생님의 사진을 보니 가슴이 아프고 눈물이 도네요본적은 평북주소는 광주교도소 (ㅠㅠ)

선생님은 남쪽에 친인척이 아무도 안 계십니다그래서 교도소에 있을 때 아무도 면회를 안 와서 영치금도 없으니 물품 구입하는 시간은 보지도 듣지도 않았다고 합니다아ㅠㅠㅠㅠㅠ

그런데 또 반면 남쪽에 가족과 친인척이 아무도 없으니 연좌제로 고통 받을 사람이 없어서 또 다행이라 생각하셨다고 합니다.

북녘 고향에 있는 가족들은 당연히 당의 보살핌으로 잘 살고 있을거라 믿어 또 어떻게 보면 마음이 편했다고 하십니다.

두돌이었던 선생님의 아드님이 지금 사진 속 선생님의 모습과 많이 닮아 있을까요얼마나 서로 보고 싶을지ㅠㅠ 천륜입니다인간 세상에서 우리가 막을 수 없는 것입니다막는 자들은 하늘에서 천벌을 내릴 것입니다. (페북에 천벌’ 세월호 이후 두번째군요 ㅎㅎ)

그렇게 외로움 속에서 27년 감옥에서 살다 나와 보호관찰로 또 외로움 속에서 20년 동안 여관,여인숙월세방을 전전하며 고독하게 살으셨습니다그래서 그러신지 평상시에도 선생님은 방에서 혼자 계시는 시간이 많으십니다그게 편하시니까 그러시겠지요 ㅠ

무슨 이유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렇게 고통스럽게 할 수 있을까요 ㅠㅠ

자격증에도 나와 있듯이 선생님의 본적은 평북입니다.

선생님의 뿌리는 북녘입니다남쪽에는 아무것도 없습니다하루 빨리 북으로 가셔야 합니다북녘 고향집에서 반겨주셔야 합니다고통스러웠던 생의 정리와 마감은 북에서 하실 수 있게 해 드려야 하지 않을까요ㅠ

내일 당장 북녘 고향으로 돌아가셔도 안 되는거나 이상할 것 아무것도 없습니다.“

출처: 뉴스로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