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예절을 잘 지켜야 사람들 사이에 동지적 사랑을 더 활짝 꽃피우고 집단의 단합과 화목을 이룩하며 온 사회에 혁명적인 사업기풍과 생활기풍을 세워나갈 수 있다.
인사법을 통해 우리 민족의 우월성을 알 수 있는데 허리를 굽혀 예의를 표하는 우리식 절은 몸가짐이 정중하고 그에 따르는 인사말이 따뜻하며 얼굴표정이 부드럽고 정다워서 악수를 나누는 인사법과는 대비도 할수 없는 우리 식의 고상하며 우월한 인사법이다.
세계 200여 나라들이 나라와 민족마다 각이한 자기의 고유한 인사법을 가지고 있다.
악수하는 인사법, 껴안는 인사법, 이마를 맞대는 인사법, 코를 맞대는 인사법, 입을 맞추는 인사법, 손을 다른 사람의 발잔등에 갖다대는 인사법 등 각양각색의 수많은 인사법이 있다.
유럽인들은 사람들과 만날 때 악수를 하거나 포옹하며 볼을 마주 대는 식으로 인사를 한다.
그런데 이 인사법이 최근 세계를 휩쓸고있는 《COVID-19》의 급속한 전파문제 때문에 유럽 전통적인 인사법이 변화 되고 있다. 위생학적으로 좋지 않고 전염병을 확산시키는 통로가 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증명되었기 때문이다.
지금 유럽에서 파급 유행되고있는 동방식인사법
이에 지금 유럽에서는 인사예절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인사법으로 동방의 인사법을 받아들이고 있다. 웃몸을 굽혀 상대방에게 존경의 뜻을 나타내는 선절을 하는것을 하나의 유행처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그중 우리 민족의 인사법처럼 문화적이며 위생적으로도 흠잡을데 없을뿐아니라 대상에 따르는 예의표시가 충분하고도 명백한 예법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인사예절은 사람들사이에 지켜야 할 도덕규범의 하나로 사람의 도덕적풍모를 평가하는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민족의 기본인사법인 우리식절은 고상하고 단정할뿐아니라 위생적으로도 깨끗하며 아름답고 예절바른 인사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절은 사람들이 서로 만나거나 헤어질 때 허리를 굽히거나 머리를 숙여 존경과 축하, 안녕을 인사법예절로서 표시한다.
고대에 벌써 이웃나라인 중국에서는 우리 나라를 가리켜 덕망이 높고 점잖은 사람, 성인과 같은 사람들이 사는 나라라는 뜻으로 <군자국>이라고 하였으며 우리 나라는 동방례의지국으로 세상에 널리 이름을 떨쳤다.
옛 기록들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를 비롯한 삼국시기에 절을 하는것이 기본인사법으로 되어 있다고 전하고있다. 이러한 삼국시기의 인사법은 고구려무덤벽화들인 수산리무덤벽화와 약수리무덤벽화에 고구려사람들이 상대방을 존중하여 절을 하는 장면이 생동있게 화폭으로 묘사되어 있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우리절에는 크게 앉은절과 선절이 있다.
앉은절은 흔히 방안에서 하고 선절은 바깥에서 하는것이 일반적인 관례로 되어 있었다.
선절은 서서 하는 절로서 허리를 굽히고 고개를 숙이는 정도에 따라 역시 큰절, 평절, 반절로 나눈다.
선절의 큰절은 곧바로 선 자세에서 웃몸을 깊숙이 숙이는 방법으로 웃사람들에게 최대의 경의를 표시할 때, 선절의 평절은 선 자세로 허리를 일정한 정도로 굽히면서 같은 나이의 사람들사이, 나이는 비록 많지 않으나 사돈과 같이 어렵게 대해야 할 사람들사이에 하며 선절의 반절은 아래사람, 젊은이들의 인사에 대하여 웃사람들이 답례할 때 선 자세에서 고개만을 가볍게 숙이는 방법으로 한다.
이처럼 우리절은 서구의 인사법과는 달리 웃사람과 아래사람, 대상에 따라 상대방에 대한 예절을 충분히 표시할 수 있는 단정하면서도 고상한 인사법으로서 위생학적으로도 아주 안전하고 깨끗하다.
우리민족성원은 누구나 우리의 인사예절이 얼마나 우월한가를 잘 알고 생활에 철저히 구현해나가며 우리민족의 우수한 문화문명을 계승하며 인류에 널리 알려 나가야 할 것이다.
지금 북(조선)은 조선절이라 부르는 우리 인사법을 시대의 요구에 맞게 인사예절로서 적극 계승발전 시켜가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사회에는 민족적향취와 정서가 차넘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