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7일은 미얀마군 창군 기념일. 역사를 아시고 강대한 외세를 어떻게 이용해야 자주국이 될지 생각합시다.
버마군의 창군과 군권장악과정
1. 식민종주국 영국의 버마 식민지 군대는 소수민족을 주력으로 삼았다.
버마를 식민통치하던 영국은 버마에서 군사 부문에 현지인 참여는 카렌(Karen)족 등 소수민족만 인정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버마 왕정과 3차례나 전쟁 끝에 겨우 이겨 식민지로 삼은 두려움과 원한이 컸기 때문에 버마 식민지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버마인은 권력의 원천인 군사 부문에서 배제되었다.
[1922년 카렌족 여인들- 저작권 공유]
1931년 영국령 버마군의 병력은 3,837명이었는데 이 중 인구이 75%를 차지하는 버마인 군인은 불과 472명(12.3%)에 불과했고, 카렌족 1,448명(37.7%, 전 인구의 9.3%), 친족 868명(22.6%, 전 인구의 9.3%), 카친족 881명(23%, 전 인구의 1.1%), 기타 소수민족 168명(4.4%, 전 인구의 12.1%)였다.
버마인은 타킨당(Thakin)을 중심으로 자연발생적으로 무장독립운동을 목표로 했다. 버마어로 선생 또는 주인(master)을 뜻하는 타킨이라는 존칭을 붙인 ‘30인 동지회’는 당시 영국령 인도왕국의 식민지인 버마의 무장독립운동을 이끄는 비밀조직으로 성장했다. 일본정보기관은 이들을 찾아내 접촉하여 망명시키고 당시 일제가 점령하고 있던 중국 해남도에서 이들에게 엄격한 군사훈련을 시켰다. 이 당의 다수를 차지하는 급진파는 무장독립운동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었다.
일본 육군은 인도의 무장독립군과 함께 인도까지 전선을 확대하는 과정의 일환인 버마침공작전에 버마인 타킨당을 지원함으로써 일본군에 협조하는 현지인 조직의 육성을 도모했다. 타킨당 측에서도 외국의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방침이었기 때문에 일본 육군의 도움을 수락했다. 일제 육군은 1940년 말부터 다음 해 7월까지 아웅산 등 30명의 타킨당원을 비밀리에 해외로 망명시키고 버마 독립 지원을 담당하는 특무정보기관을 설립했다. 무기를 지원해 줄 선을 찾던 아웅산 등은 이 기관의 지원을 받아 일본군이 점령 중이던 중국 해남도에서 엄혹한 군사훈련을 받았고, 이 기관은 이들을 게릴라 요원으로 버마에 입국시켜 버마를 통한 원장(援蔣)(중화민국 장개석 군대를 돕는) 공로 차단을 계획했다.
1941년 12월 8일 태평양전쟁이 발발하고 일본과 영국이 전쟁상태에 들어가면서 아웅산 등은 태국 방콕으로 본부를 옮겨 12월 28일 태국에서 버마인 200명을 주력으로 버마독립군(BIA)을 편성했다. 일본정보기관과 현지 업체 직원 등 일본인 74명도 참가했다. 일제현지정보기관의 장인 스즈키 케이지(鈴木敬司. 1897-1967. 일본육사 30기. 최종계급 소장. 한국인 동기생 엄주명(嚴柱明. 한국군 준장. 친일파)가 군 사령관이 되고 아웅산(일본명 오모타몬지=面田紋次)에게 대령 계급을 부여해 참모로 삼았다. BIA는 일제가 지급한 총기로 무장했고 전용 군복도 지급되었다.
버마독립군은 1942년 1월 3일부터 버마침공작전을 시작했다. 임무의 중점은 전투보다 대민 심리전이었다. BIA는 점령지 각지에서 지원병을 모집하고, 일부는 영국군과 교전을 벌여 패퇴시켰다. 1942년 3월에는 수도 랭군을 점령하고 3월 25일에는 4500명의 병력으로 열병식을 거행했다. 4월에는 일본인들은 지휘계통에서 물러나 군사고문을 맡았다. 버마공략 전투 종결 시에는 버마독립군의 총 병력은 약 2만 7천명으로 급증했다.
[기마 상태의 아웅산 장군]저작권 공유
1942년 6월 강 하류지역에서의 수상작전을 위해 영국 해군 수병 출신 병력 30명의 소규모로 해군이 버마독립군 아래에 설치되었다. 이들이 현재 미얀마 해군의 기원이 된다.
일본은 그해 7월 버마독립군의 용감한 전투로 버마 전선에서 영국군을 축출한 28세의 아웅산을 일본으로 초치해 최고위급 일본훈장(旭日章)을 수여했다.
일제는 버마 땅에서 군정이지만 명목상 독립국가를 만들어 1942년 8월에 바모(Ba Maw. 1893-1977. Mon족 출신 영국법정변호사)를 수반으로 하는 자치정부를 성립시켰다. 이 정부에서 아웅산은 국방장관을 맡았고, 훗날 독립 버마의 초대 수상을 맡은 우누(U Nu)는 외무장관을 맡았다. 동시에, 일본군은 버마독립군이 너무 커졌고, 아웅산 등이 버마인의 지지를 받아 일본의 점령통치에 방해가 되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에 버마독립군의 축소를 추진했다.
[욱일장 훈장에 일본군도를 찬 일제가 만든 버마국 수상 바모. 아웅산도 20대말-30대 초에 그 내각의 국방상이었다.] 저작권공유
1942년 7월 버마독립군은 해산되고 3개 대대(2,800명)로 이루어진 버마방위군(BDA)이 대체 창설되었다. 버마방위군은 자치정부의 산하가 아니라 일본군의 보조부대로서, 일제 제15군 산하였다. 일제는 장래 1만 명 정도까지 규모를 확대할 예정으로 일본군 지도하에 간부양성을 위해 버마 간부후보생대를 설치하고 간부후보생대 졸업생(제1기)의 일부 약 30명은 일본의 육군사관학교 57기(조선인 박정희=高木正雄의 동기)로 편입시켰다. 57기는 1944년 4월 모두 1268명이 졸업했으나 중위(전사자는 대위 추서)로 7백 수십 명이 전사했다. 버마인 편입생의 훗날에 대해서는 보도된 자료나 연구된 문헌을 찾을 수가 없다.
[저작권 공유-좌부터바모,張景惠,汪兆銘,도조히데키등-대동아회의(Greater_East_Asia_Conference) 참석자 일동-그는 일보이 패전하자 일본 니가타 현으로 피신했다가 아웅산 장군의 교섭으로 영국군 수뇌부와 미얀마 현지 전범재판에서 석방됐다. 혁명가에게 이렇게 의리는 중요하고 적시에 외세의 힘을 잘 빌릴 줄 아는 능력이 있는 지도자라야 자주정권을 만들 수 있다.]
아웅산은 일본의 버마방위군 대우와 버마의 완전독립이 부정적임을 간파했고 일본군이 Impal 작전에 실패하는 등 패색이 짙어지자 1943년 11월 영국군에 ‘버마방위군’을 영국에 인계할 생각이 있다‘는 서신을 보내고 1944년 8월 1일 ’소위‘ 독립 1주년 연설에서 버마의 독립은 속임수라고 발언, 8월 후반에는 버마공산당, 인민혁명당과 제휴해 후일 ‘반파시스트인민자유연맹(AFPFL. 1945-1962)’이라는 군사정치조직을 비밀리에 확대해 나갔다.
[버마방위군(BDA)-인도독립군-일제군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는 1944년의 영국군과 인도군]
1945년 3월, 북부에서 버마방위군의 일부가 일본군과 충돌했고, 아웅산은 반란군에 대항한다는 명목으로 버마방위군(BDA)을 랭군에 집결시켜 3월 27일 일본군을 공격했다. 이 날이 미얀마 육군 창군기념일이다. AFPFL에 속하는 모든 세력도 일제히 봉기해 1945년 5월에는 랭군을 탈환하고 6월 15일에는 일본군으로부터의 승리를 선언했다. 전쟁이 끝난 후에 돌아온 영국은 전후의 버마 독립을 인정할리 없었지만 버마인으로 나머지 일본군을 패퇴시키기 위해 겉으로는 각종 지원을 실시했다.
1945년 5월 아웅산은 영국군 인도태평양지역 총사령관인 Louis Mountbatten(1900-1979) 제독과 회담하고 버마방위군을 버마애국군(Patriot Burmese Forces/PBF)으로 개칭하면서 연합군의 지휘 하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아웅산 생전에, 버마 공산당은 1946년 2월에 (Thakin)Than Tun(1911-1968. 암살)이 이끄는 대중운동노선인 백기공산당과 Thakin Soe(1906–1989)가 이끄는 무장투쟁노선의 적기 공산당으로 분열되었다.
아웅산은 즉시 독립을 요구하는 세력들과 달리, 영국과의 협상을 통해 독립되고 통일된 미얀마(버마)를 건설하려고 애쓰다가 의문의 암살을 당했다.
———————————-
2. 버마국군의 4대까지 총사령관은 다음과 같다.
⓵ 초대 아웅산. 30인동지회 서열 1번.(이전에 수차 언급)
[아웅산과 PangLong 회의에 참석한 영국노동당(당시 집권당으로 수상 Attlee) 소속 Bottomley의원)
⓶ 2대 Bo Let Ya(본명 Hla Pe. 1911–1978). 양곤 출신으로 30인동지회 서열 3번.
아웅산과 함께 공산당 창당 동지로 아웅산이 암살된 후인 1947년부터 1948년까지 잠시 동안 버마 군사령관 직을 맡았다.
(@) Bo Let Ya 장군의 경력(Bo는 버마어로 장군을 뜻하는 존칭)
함 마디로 그의 인생은 파란만장했지만 말질 잘하는 우리에게 그의 삶이 의미하는 바 크다.
그는 공산당원으로 독립운동에 나섰다가 사업가로 돈도 많이 벌었지만 나중에는 미국 CIA의 조정을 받는 우누 전 수상(네윈에게 축출)과 함께 태국에서 망명정객으로 활동하다가 그가 활용하던 카렌족 소수민족들과 교전 중 전사했다. 누구를 위한 전사인가? oo주의, 좌우파 찾는 사람들은 자신의 존재현실을 무시하고 헡 지식으로 말장난하는 이들이다.
Let Ya 장군은 버마독립군의 아웅산 사령관 때, 부사령관이었고 일본이 명목상 건설했던 버마방위군(BDA)의 중령 계급으로 태국에서 버마로 들어와 주로 군 자금 모금 책임과 농촌에서의 신병 모병 임무를 맡았다. 아웅산의 최측근 좌 Let Ya, 우 Ne Win이었다. 아웅산 사후에 그와 네윈은 경쟁자가 되었다. Ne Win은 영국군과 조약을 체결하고 절차적인 독립을 추구했지만 Let Ya는 즉시 독립파로 이 방안을 반대했다.
사령관 직을 맡은 1년 뒤, 그는 버마 정부에 맞서 싸우는 카렌 지도자들을 지원한 혐의로 기소되었고 군 사령관직에서 물러났다.
1950년대에 그는 Matabam Company를 설립하여 해산물 수출업체로 성공했고, 버마의 정치와 비즈니스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이 되었다. 그는 1962년 네윈의 쿠데타로 전복된 우누 전 수상의 지지자로 1960년대에는 태국으로 도망쳐 우누의 의회민주당에 합류했다.
의회 민주당(PDP)은 네윈의 쿠데타로 망명한 우누가 1969년 8월에 태국에서 설립한 버마 정당이다. U Nu는 태국에서 전직 신문 편집자인 Edward Law Yone과 ‘30명동지회’의 4회원과 함께 PDP를 설립했다. 그가 조직한 무장 세력인 애국해방군(Patriotic Liberation Party)은 태국과 버마 국경 연선에서 반란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1970년에 미국 CIA의 은밀한 지원을 받아 이 당은 카렌국민연합(Karen National Union), 친 민주당(Chin Demoratic Party), 신몬국군( New Mon State Army)과 국군과 함께 전국연합전선(National United Front)이라는 통일전선을 구축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NUF는 재정적 어려움과 서로 다른 민족들 간에 정치적 불화합을 부딪쳤다. U Nu가 1973년 PDP의 의장직을 사임하고 인도로 이주한 후에 이 움직임은 붕괴했다.
(이 언어지도 처럼 이렇게 많은 민족이 다른 언어를 쓰고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중국계 후손인 버마인이 중국어를 쓰기도 한다)
이 때 Let Ya는 애국해방군의 사령관이 되어 태국 국경을 기반으로 한 카렌민족연맹(KNU)과 정부 간의 갈등을 적극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맡았지만 1978년 11월 민족연합군 내의 카렌반란군과 교전 중에 사망했다.
⓷ 3대 Smith Dun(1906–1979). 영국군 군사훈장을 받은 영국식민지 인도군 장교로 성장하여 버마독립군(버마방위군)의 적이었다. 버마 육군중장으로 1948.1.4(독립)-1949년 2월 1일까지 직을 맡았다.
(저작권 공유)
독립국이 된 버마군대(Tatmadaw)에서는 초대 총사령관이 되는 셈이다.
(@) 식민모국 영국-인도군 출신 Smith Dun의 경력
그는 1924년 11월 8일 인도 육군에 입대, 제20소총연대 10대대에 배속 후에 훈련을 받고 제2대대에 복무했으며 1930-1932년의 버마반란기간 동안 버마에서 복무했다.
그는 1931년 1월 10일 인도총독부 영국인도군 장교에 임명되어 인도에서 대학에 다니고, 이후 인도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매년 최우수 생도에게 수여되는 ‘명예의 검(Sword of Honour)을 받았다.
그는 1935년 2월 1일에 임관. 1934년 2월 4일부로 임관일자를 앞당김(antedated). 임관 후 1년 동안 Agra(성)에 있는 Kings Own Yorkshire Light Infantry 연대 제2대대에 배속. 1936년 2월 24일 인도군으로 소속 변경하여 1936년 3월 9일 Punjab연대 제2대대 배속. 1936년 5월 4일에 중위 진급. 그의 대대는 1936-37년 서북 국경 전투에 참가했다.
인도육군사관학교 재학 중에 Dun은 우수생도반 소속으로 선택되었는데 그 반에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미래 총사령관인 Sam Maneckshaw와 Muhammad Musa도 배출했다.
그는 일본군이 1941년에 침공했을 때 인도제국 버마군 헌병으로 복무하고 있었다. 버마에서 퇴각한 그의 복무 사실은 1942년 10월 28일 London Gazette, Mentioned in Despatches에 기재되어 있다. 그는 Quetta의 참모대학(Staff College)에 다니면서 Burma에서의 추가복무에 대비한 교육을 받았다. 이 내용은 또 다른 Mention in Despatches(London Gazette 1945년 4월 5일자에 기재되어 있다. 나중에 버마정보부대(Burma Intelligence Corps)에 소속된 임시 소령(temporary Major)으로 군사메달(1946년 1월 17일 런던 Gazette)를 받았다. 그는 인도군의 전시 중령으로 진급했고, 1945년 11월 대령 대리(acting colonel)로, 1946년 5월에 임시 대령으로 진급했다. 그는 1949년 1월 3일 인도 육군에서 명예 준장으로 퇴역했다.
영국은 모든 인종 그룹을 포함하는 버마연방에 대한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는 구실로 카렌족인 Dun을 버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버마군대와 경찰의 총사령관에 임명했다. 그러나 1949년 Karen족이 버마로부터의 독립전쟁을 시작했으므로 Dun은 버마국군 총사령관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Dun은 영국식민지군대인 인도군대 내에서 충성스러운 간부였다. 키가 작아서 별명이 ‘4피트 대령’인 그는 퇴임 후에도 민족적 뿌리에 대한 의혹이 남아 있었지만 카렌족 병사들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했다.(인도군 준장-버마군 중장)
⓸ 4대 네윈. 30인동지회 서열 6번. 재임기간 1949년 2월 1일-1972년 4월 20일
(5대 이후의 사령관은 네윈의 군사정권이 집권했으므로 생략)
(@) 정통 독립군 출신으로 창군의 주역에서 독재자가 된 네윈
Dun의 후임은 반식민지 무장투쟁의 영웅 중 한 사람인 네윈이다. 네윈(Ne Win. 1910-2002. 객가계 후손 혼혈. 본명은 Rhu Moṅʻ/Shu Maung)은 1941년의 30인 동지회 무호(武号. 빛나는 태양의 뜻)이지만 후에 본명을 대체했다. 그는 1941년 2월 아웅산과 함께 일제 정보기관에 조직이 발각되어 해남도에서 군사훈련을 받고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네윈은 BIA와 BDA의 사령관 중 한 명으로 초기에는 아웅산 노선을 따라 영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했고, 버마군 제4소총대대장으로 적기공산당과 Pyinmana 지역에서 반공전투를 벌였다. 버마공산당 무장세력은 각각 1946년 10월과 1948년 3월 28일에 네윈이 이끄는 정부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해 지하로 들어갔다.
1948년 1월 4일 독립이후 버마는 14년 동안 주로 (U) Nu 수상이 의회민주주의 정부를 운영했으나 정치적 분열로 그 직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누는 사회당의 지도자로 1945년 공산당, 사회당, 버마국민군이 연합하여 결성한 AFPFL에서 공산당을 추방했다.
1948년 말, 소수민족의 봉기가 자주 발생하고 영국식민지 인도군에서 성장한 카렌(Karen)족 출신인 Dun으로 군부를 통솔하기가 어려워 우누는 1949년 1월 31일 군 총사령관은 Ne Win으로 교체해 그는 독립국 버마연방의 사실상 2대 총사령관으로 군부를 완전 장악했다. 1948년 말, 30인동지회의 일원인 Bo Zeya(순위 5번)은 공산주의자에 동조해 군 일부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네윈은 우누 수상의 승인을 받아 ‘Sitwundan’이라는 사회주의 민병대 창설해 이 반란을 무력화시켰다.
[1963년 네윈 정부와의 평화회담 결렬 후에 입산하는 공산주의 무장투쟁가들. 대부분이 네윈이 제압했다.]
미얀마군의 역사에서 최대 공적은 우누 수상과 네윈 장군이 영국이 후원하는 Dun을 꺾은 것이다. 네윈은 집권 사회당의 정치노선을 따라 군대를 재건했지만, 국가는 여전히 분열되어 있었고, 정부는 비효율적이었다.
1945년 일본이 패전하면서 영국이 식민지배자로 다시 정권을 장악한 이후에 버마군은 북부를 장악한 중국국민당 군과 싸우면서 동부는 카렌족 인도군 출신 장교단을 필주로 버마군 내의 소수민족출신자와 공산주의자들이 탈주해 1950년 우누 정권의 통치범위는 사실상 양곤 주변으로 축소되어 있었다. 네윈이 국방상을 맡아 소수민족출신 장병을 파면 또는 해직하자, 이들은 카렌민족해방군(KNLA), 카친독립군(KIA)을 조직했다. 우누는 유엔에서 중국국민당 군대를 비난하는 외교전을 펼치는 동안, 네읜은 중국인민해방군과 함께 제일 먼저 국민당 군을 축출하는데 성공했다.
네윈은 군 최고사령관, 연방혁명평의회의장(1962.3.-1974.3), 버마연방사회주의공화국 제4대 대통령(1974.3-1981.11), 제4대 수상(1958-1960. 관리정부), 제6대 수상(1962.3-1974.3), BSPP초대의장(1962.7.4-1988.7). 일당독재. 일본명 다카수기신(高杉晋).
©유일상(건국대 명예교수, 저널리즘 전공) 지금은 미얀마 상황의 공정보도를 위해 일인 독립 자원봉사 기자로 기쁘고 바쁘고, 지친다. 그래도 대신해 줄 자원봉사 기자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