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김정은위원장 제7기 사업총화보고 <최종 전문>

북의 매체들이 일제히 1월 5일부터 진행된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중앙위원회 제7기 사업총화보고 소식을 보도하고 있다,  사업총화보고는 1월 5일부터 1월 7일까지 3일동안 열렸다. 이에 21세기코리안뉴스는 코리아반도와 민족의 앞날에 참고될 주요사안들이 담겨있다고 보고 북 바로 알기 일환으로  제7기…

‘중국 톈옌’, 4월 1일부터 세계 과학계에 개방

  중국과학원 국가천문대는 ‘중국 톈옌(天眼: 하늘의 눈)’이라 불리는 직경 500m의 구면 전파망원경(FAST)을 4월 1일 정식으로 세계 과학계에 개방하고 전 세계 과학자들의 관측 신청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중국톈옌’운영발전센터의 장펑(姜鵬) 상무 부주임 겸 수석엔지니어는 4월 1일부터 각국 과학자들은…

<인민망> 중국 지하철 타려면 공항처럼 검사를?

[인민망 한국어판 10월 23일] 14억 중국인이 이용하는 대중교통 지하철은 최근 급속히 발전해 2018년 말 기준으로 중국 내 24개 성 35개 도시에 171개 노선의 지하철이 운행 중이다. 중국에서 지하철을 타기 위해서는 한국과 달리 반드시 거쳐야 하는…

가오리의 향연

모이는 가오리 떼는 뭔가 원인에 의해 정확히 둥그런 공 모양을 만들어냅니다. 구球는 원의 집합체이며 어떤 방향에서 잘라내도 <지름 곱하기 3.14159.. = 원둘레>라는 공식을 만족합니다. 매우 과학적인 것 같지만 이 π는 하나도 논리적이질 않습니다. 인간의 몫이…

천연기념물 금천식물화석

  조선의 황해북도 금천군 현내리에 고생대의 지층이 있다. 고생대 데본기에 속하는 이 지층의 탄질점판암속에 여러종의 식물화석들이 있다. 식물화석은 대체로 옛솔잎란식물문에 속하는 옛솔잎란속, 아스테로실론속의 화석들이다. 식물화석들의 발견은 이 영역에서 바다나물(바다마름류)이 육지식물로 진화되었다는 뚜렷한 증거이다. 금천식물화석은 조선의…

북, 우리말과 글 알아듣는 AI 개발 계속 갱신

인공지능개발에서의 경쟁과 도전 남과 북에서 동시에 우리말을 알아듣는 인공지능(AI)를 각각 개발하며 발전시키고 있다. 북은 2016년 김일성종합대학 정보과학대학 지능기술연구소가 이미 개발한 조선어음성인식프로그램 <룡남산>과 같이 조선어음성인식프로그램과 조선어문자인식프로그램이 개발되어 더욱 발전 시키고 있고, 남은 우리말을 인공지능이 직접 학습할…

8차 당 대회 개회사의 시사점

뉴스1 편집자주: 뉴스1이 북한 전문가 정창현 머니투데이미디어 평화경제연구소 소장의 글을 연재한다. [정창현의 북한읽기]는 북한 정치·군사·사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김정은 국무위원장 등 북한 수뇌부에 대한 ‘리더십 해석’을 통해 반 발짝 앞서 북한의 변화를 읽어낸다. 정창현…

민족의 건축술을 자랑하는 가학루

  민족의 건축술을 자랑하는 가학루 가학루는 조선왕조때 안변객사의 부속건물로 지은 다락집으로서 강원도 안변군 안변읍에 있다. 가학루는 뒤로 학성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남대천이 흐르며 무연한 안변벌을 굽어보는 경치 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안변의 역사를 쓴 책인 <학성지>에…

“북 스마트폰 UI에 구글 기준과 자체 양식 혼재돼 있다”

영상회의 플랫폼 줌(ZOOM)을 통해 진행된 통일 디자인 심포지엄 모습 북한 스마트폰에 탑재된 앱 사용자인터페이스(UI)를 분석한 결과 미국 구글의 표준 가이드라인과 북한의 자체 양식이 혼재돼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본 앱에는 구글의 머트리얼 디자인(Material Design)이 적용됐지만 추가로 개발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