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는 오랫동안 가장 아름다운 보석 중 하나로 사랑받아 왔습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얼마나 둥글고 매끄럽고 반짝이는가를 확인하는 데 집착하지만 내부는 더 매혹적입니다. 진주는 기생충이나 이물질이 굴진주조개 내부에 들어갈 때 만들어집니다. 이때 굴은 탄산 칼슘으로 된…
Category: 문화/역사/예술
문화역사예술
김홍도의 [송하맹호도] 이전에 정홍래의 [산군포효]라는 호랑이 그림이 있었다. 정홍래는 숙종 때 궁중화원이었다. 두 그림의 연관성은 소나무와 호랑이의 자세에서 발견된다. 호랑이의 자세는 비슷하지만 표정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정홍래의 호랑이가 제목처럼 포효하고 있다면 김홍도의 호랑이는 단정하다. 정홍래는…
말모형 동방의 천년강국 고구려는 문화발전수준에 있어서도 그 이름이 높았다. 고구려의 발전된 문화를 보여주는 많은 사실자료들가운데는 철령유적에서 발견된 말모형도 있다. 고구려의 말모형은 1990년대초 강원도 고산군과 회양군의 경계를 이루는 철령의 서쪽 봉우리 동남쪽기슭에 있는 건물터에서 나왔다. 발견된…
쉬리렌같은 특수한 가시화 기술을 사용하면 평상시 보이지 않은 현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리 같은 전공자는 이를 광응용기술이라고 부릅니다. 사진 속 촛불의 입자는 많은 걸 보여줍니다. 과학이자 예술이지요. 그런데 분명한 사실 하나는 빛이 사물의 본질을 바꾸지는…
함경남도 금야군 동흥리에서 북쪽으로 3.5㎞ 떨어진 풍치수려한 골짜기에는 1393년에 처음 세워지고 1843년에 개축된 역사유적 안불사가 있다. 안불사 내에는 전나무·밤나무·가래나무·벚나무 및 단풍나무가 들어차 있고, 주변에는 소나무·참나무들이 우거져 있으며, 나무 밑에는 작은 개울이 흐르고 있다. 안불사에는 아주…
함경북도 명간군 근동리에 신생대(제3기)의 지층이 있다. 사암, 분사암, 니암으로 이루어진 지층에는 많은 조개화석과 골뱅이화석들이 들어있다. 이로부터 이 지층을 일명 명간제3기조개화석층이라고 부른다. 화석층의 길이는 약 50m이고 너비는 20m이며 높이는 10m이다. 여기에는 조개류와 골뱅이류화석들이 줄지어있거나 군데군데 무지로…
평양영화기술사가 지난해부터 국가컴퓨터망에 《생활의 벗》이라는 홈페지를 내오고 운영하고 있는데 그 리용자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평양영화기술사 정보기술교류실 김경옥실장(47살)에 의하면 현재 전국적으로 가입자수가 수백만명에 이르고 있다. 《생활의 벗》에서는 국내의 예술영화와 과학영화, 텔레비죤극, 만화영화를 위주로 열람봉사를 진행하고 있다….
벽화의 기본주제는 사신도, 축조시기는 6세기경 조선신보에 따르면 최근 조선민족유산보존사와 남포시민족유산보존사의 연구집단이 남포시 룡강군 은덕지구에서 사신도주제의 고구려벽화무덤을 새로 발굴하였다. 북쪽방향에서 본 무덤전경 무덤은 200여기의 고인돌무덤이 집중분포되어있는 석촌산의 남쪽기슭인 은덕지구북쪽의 산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으로부터 서쪽으로 1.5km정도 떨어진…
< 지금 북(조선)은 > 금요관광소식 2020.12.11 1. 세계관광기구와 세계보건기구 대처 협력 공동성명 발표 지난 2월26일 세계관광기구와 세계보건기구가 COVID-19의 발생과 관련하여 공동성명을 발표하였다. 성명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여행제한조치가 실시되고 앞으로 관광객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있는 가운데 두…
< 지금 북(조선)은 > 목요문화역사소식 2020.12.10 1. 세계에 뛰어난 태천옻칠공예 평안북도 태천군은 옻나무 숲이 무성한 고장이다. 태천의 옻 원재료는 오래 전부터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옻나무에서 나오는 옻은 잿빛이 도는 흰색의 액체인데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