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전민과학기술인재화](10) 무형문화재 회령백살구 가공공장 40%전력 절약하며 증산 추진

회령백살구는 북의 회령지방에서 나는 명산물로 옛부터 실과가 크고 맛과 향기가 달콤하여 회령의 자랑이다. 북은  지난달 회령백살구를 지방비물질문화유산(무형문화재)으로 지정하였다.  앞서 1980년 북은 품종특성연구에 학술적의의가 있는 회령시 창효리 20여그루 회령백살구나무 또한  천연기념물 제439호로 지정한 바 있다. 북의…

북, 유기농 Non GMO 청국장 <봄맞이> 품질 최고

북의 우리식유기농업역사가 30년이 넘는다.  70년이 넘는 미국과 그 동조세력들의 반인륜적제재속에서도 북은 “나라마다 경제·농업 관리 체계가 다르고 유기농업이 진행되는 환경과 구체적 조건, 방법이 다르다”며 우리식유기농업을 장려해 왔다. 2005년 11월 23일에  ‘유기산업법’을 제정하고 제반 규정들을 세웠으며 유기농업전문가들,…

북, 미생물발효제 천연녹색제품 홍곡가루 건강에 기여​

발효식품은 지혜롭고 슬기로운 선조들이 인류에 남긴 귀한 보물이다. 북에서는 발효공학과 생명공학을 꾸준히 발달시켜 현재 생물공학기술이 상당히 발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북의 국가과학원 생물다양성연구소와 은정기술제품교류소의 연구집단이 천연논색제품인 홍곡가루를 연구개발하였다. 홍곡가루는 현대생물공학기술로 육종한 홍곡균을 낟알에 접종하고…

평양화초연구소 다종의 화초 생산 문화정서생활에 기여

  평양화초연구소 종업원들이 아름다운 꽃들을 많이 키워 문화정서생활에 적극 기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평양화초연구소는 나라를 백화만발한 사회주의선경으로 만들기 위한 선대들의 원대한 구상을 실천하기 의해 꾸려진 현대적인 화초연구기지이다. 연구소에서는 꽃재배를 과학화, 공업화하여 온 나라를 백화가…

통일부, 김정은 ‘국무위원장’ 호칭이 적절..영문은 ‘프레지던트’ 존중

통일부는 북한 최고지도자인 김정은의 공식직함을 국가 대표직위인 국무위원장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절하며, 영문 표기는 프레지던트(PRESIDENT)로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사진-조선중앙통신 영문 갈무리]  북 김정은최고지도자의 공식 직함은 ‘조선로동당 총비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 최고사령관’이다. 각각 당과 국가,…

북, <우리 식>의 새로운 오수정화공정 개발도입

2,185 년 전 코리엔탈 저수지의 놀라운 여과 시스템을 최근 발굴한  학자 전문가들은 마야 문명의 도시 티칼이 번성했던 이유가 깨끗한 식수에 있었다고 탄성을 자아 냈던 조사보고서가 있다. 북에서는 물을 잘 다스려 오고 있는데 김정은총비서는 강하천과 호수,…

‘민중-통일운동의 어른’ 백기완 선생 별세

2017년 11월 ‘NO트럼프 공동행동 평화시국회의’가 주최한 범국민대회에서 연설을 하고 있는 백기완 선생. [통일뉴스 자료사진]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15일 오전 투병 끝에 별세했다. 향년 88세. 1933년 황해도 은율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0년대부터 평생에 걸쳐 농민·빈민·노동·민주화·통일운동에 매진하며 한국 사회운동…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차전원회의 소집, 1일 2일 이어 3일회의 진행 (계속)(전문)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2차전원회의 3일회의 진행> 2월 10일 북의 로동신문에 따르면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결정관철을 위한 가장 정확하고 구체적인 투쟁방략을 밝혀주는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소식은 모든 애로와 난관을 박차고 새로운 혁신과 전진을 위해 분투하고있는 전당의 당원들과 온 나라 인민들의…

조선시대의 초상화

심규섭의 아름다운 우리그림 초상화(肖像畵)의 개념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이렇다. ‘사회적 가치를 만든 사람의 얼굴을 그리고 보관해 후대로 연결하는 그림의 형식’ 초상화의 대상은 동, 서양이 별반 다르지 않다. 대부분 왕이나 귀족, 공을 세운 장군, 혁명가, 사상가…

길어지는 방학 북에서는 어떻게 수업할까?

북에서는 지금 교원들이 아이들을 찾아다니며 안내수업을 하고 있다고 한다. 아마도 오지, 벽지, 외딴섬에까지 한명의 학생이 있어도 찾아가 교육하는 북의 풍토에서만 가능한 풍경일 듯 하다. 소식에 따르면 교원들은 국가적인 조치로 방학이 길어지는데 맞게 주민지구별로 조직된 학습조학생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