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은 6백개 위성 갖고 있다. 대부분 800미터 미만으로 작을 것. 국제 천문연맹 “최소 1km 이상 돼야 위성으로 간주” 토성은 현재 82개 위성 소유. 지구 행성연구에 새로운 전환. 목성은 600개 이상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45개의 새로운…
Category: 과학/기술/정보/환경
과학기술정보환경
토성 주변을 도는 위성(달)이 무더기로 발견돼었다. 카네기 과학연구소와 외신 등에 따르면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MPC)는 7일 카네기 연구소의 천문학자인 스콧 셰퍼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토성 궤도에서 20개의 새로운 달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로써 토성의 달은 총…
롱핀 댐젤피쉬의 모습 서로 다른 종의 생물이 협력하는 공생 관계는 자연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그런데 일부 생물종은 마치 인간이 가축이나 작물을 키우듯 다른 생물과 공생 관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진딧물을 보호하는 개미의 경우 인간이…
북 열병식에 등장했던 무인기 모습 북이 초소형(마이크로) 무인기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월 30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이 발행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정보과학 2020년 제66권 제3호에 ‘상태공간외란관측기의 설계와 극소형 고정날개 무인기의 세로방향 로버스트 조종으로의 응용’이라는…
북도 기업들의 의사결정을 돕는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를 구축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터 웨어하우스란 분석을 활성화하고 지원하도록 설계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일컫는다. 12월 24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이 발행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정보과학 2020년 제66권 제3호에 ‘전자학습환경에서…
북이 공 모양의 로봇인 볼봇(Ballbot) 개발, 연구를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2월 24일 대북 소식통에 따르면 김일성종합대학이 발행한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정보과학 2020년 제66권 제3호에 ‘4원수를 이용한 뽈보트의 수학적 모형화’ 논문이 수록됐다. 논문은 뽈보트가 영문으로 Ballbot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에서 쏘아올린 달 탐사선 상아 5호의 달 샘플 인계인수식이 진행되고 일론머스크는 민간 유인우주선 스페이스X를 쏘아올리는 지금 지구촌 우주개발경쟁의 시대를 맞아 18일자 노동신문이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실었다. 아래는 그 전문이다. 누구나 세계에서 제일 처음으로 우주에 올랐던…
얼마전 북의 로동신문은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리과대학, 한덕수평양경공업대학, 함흥화학공업대학 등 각지의 대학들에서 교육발전과 경제의 주체화, 현대화, 과학화, 정보화실현, 나라의 첨단산업창설에 이바지할수 있게 지적제품생산기지의 활성화에 큰 힘을 넣고 있다고 보도 했다. 김정은위원장은 현지를 방문하며 “우리는 현대과학기술을 원동력으로…
박테리아 중에는 대사 과정에서 전자를 생성해 배출하는 종류가 적지 않다. 지하수나 흙 속에 널리 존재하는 지오박터속(屬)이 그런 예다. 사람처럼 산소를 들이쉬고 이산화탄소를 내쉬는 것이 아니라 유기물을 삼키고 전자를 ‘내뿜는’다. 전자는 근처의 산화철 같은 광물로 전달된다….
“우주광물 캐고 있나?” “박테리아에게 맡겼습니다!” 국제우주정거장의 배양기 안에서 현무암 속 희토류 원소들을 추출해 낸 박테리아 스핑고모나스 데시카빌리스(Sphingomonas desiccabilis). 현미경 사진에 찍힌 박테리아가 열심히 암석을 먹어 치우고 있다. 돌을 녹여 생존에 필요한 영양 물질을 뽑아내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