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망토를 걸친 심해 물고기

Pacific blackdragon은 먹이를 유인하는 데 사용하는 생물 발광 미끼를 가지고 있습니다. (Karen Osborn / Smithsonian NMNH) 투명 망토는 공상 과학 소설이나 판타지에만 적합한 변장처럼 보일 수 있지만 몇몇 심해 물고기는 보다 깜쪽같습니다. 스미소니언과 듀크 대학의…

싱가포르국립대학, 하·폐수 정화하는 새로운 다중처리 미생물 발견

싱가포르국립대학교(NUS ;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의 연구원들은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간단하고, 저렴하고, 친환경적인 하·폐수를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싱가포르국립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허젠중(He Jianzhong) 부교수가 이끄는 NUS팀은 하수의 질소(N)와 인(P)을 모두 제거할 수 있는 Tauera sp. 균주…

2천년전 마야, 천연재료 사용한 정교한 여과장치 구축

과테말라 북부의 고대 도시 티칼 (Tikal)로 부터 수 마일 떨어진 곳에서 발굴 작업을 수행하는 연구원들이 2,185년전 정교하게 구축된 마야의 여과장치체계를 발견했다. 현대 시스템에 버금가는 기술로 저수지를 정화한 고대마야 정수체계에 대한 수집 자료는 미셸 스타 (Michelle…

미국, 해양 포유동물 군사적 활용

미 해군의 군용 돌고래 훈련 장면 ⒸUS NAVY 미국, 해양 포유동물 군사적 활용 사실 전쟁에 동물을 활용하는 아이디어는 그다지 새롭지 않다. 과거에도 말과 소, 코끼리가 군수물자 수송에 활용됐고 훈련된 비둘기, 즉 전서구를 군 통신에 이용하기도…

김정은위원장이 밝힌 <현대화의 기준 >

“현대화는 노동자들이 설비를 운영해보고 좋다고 평가하는 것이 진짜 성공한 현대화” “우리는 현대화를 하여도 노동자들이 좋다고 하는것 부터 먼저 하여야 한다” NK경제 강진규 기자는 북이 경제, 산업 부문의 현대화가 현장 관계자들이 좋다고 판단하는 현대화라고 정의했다며, 이같은…

식물 냄새 맡고 안다…유익균? 병원균?

생명硏, 뿌리의 미생물 군집 조절 기작 규명 식물은 이웃 식물에게 해로운 미생물의 존재를 어떻게 알릴까. 국내 연구진이 식물들이 병충해에 맞서기 위해 서로 소통하는 방식을 알아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류충민 감염병연구센터장 연구팀은 식물이 이웃 식물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신비의 광물 ‘일라이트’ 연구,영동 지식산업센터 2023년 개소

21세기 환경산업분야에 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원료가 되어 가는 ‘일라이트’는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다량 방사하며, 중금속과 유독가스를 흡착분해하며, 벤젠 톨루엔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탈취하는 특징이 있고, 다량의 음이온을 생성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어 세포기능활성화와 혈액정화작용, 자율신경조절작용으로 어떤 광물질보다…

“면역계 구조원리, 동식물이 똑같다”

식물 면역수용체 분자 메커니즘 처음 발견 식물이나 동물이나 외부 침입자를 막는 내생 면역계는 비슷한 원리가 적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독일 쾰른대와 막스플랑크 식물육종연구소(MPIPZ)팀은 처음으로 비활성 식물 면역수용체를 활성화시키고 그에 따라 숙주세포의 사멸을 매개하는 일련의 분자 작업…

위성 소호가 밝혀낸 태양의 새로운 모습들

2020년 현재 독일, 프랑스, 영국, 오스트리아 등의 22개 유럽 국가들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는 유럽 우주국(ESA)은 지구 관측, 발사체, 우주과학 등의 9개 분야로 연구를 진행 중이다. 특히 유럽 우주국은 미국우주항공국(NASA)의 디스커버리 프로그램이나 뉴 프런티어 프로그램에 비교될만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