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나노 입자가 미세먼지를 해결할 수 있을까?

어떠한 물체가 나노미터 수준의 크기로 작아지게 되면 어떻게 될까. 나노기술(nano-technology)은 10억 분의 1 수준의 작은 단위의 나노(nano)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기술을 말한다. 나노기술을 이용하면 불치병을 고치고 노화를 늦추는 것도 더 이상 꿈이 아니다. 나노기술은 이제…

러시아 기상위성이 찍은 지구

러시아 기상 위성 Elektro-L No.1이 찍은 지구의 이미지. (이미지 : © NTsOMZ) 우주에서 찍은 지구의 새로운 사진은 우리 고향 지구 행성의 눈부신 아름다움과 강렬하고 풍부한 색상이 우리를 사로잡습니다. 이 사진은 Elektro-L No.1이라는 러시아 기상 위성이…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요즘은 수입 과일이다 하우스 재배다 해서 사시사철 다양한 과일을 먹을 수 있지만 그래도 제철 과일을 먹는 게 맛도 좋고 몸에도 좋은 것 같다. 여름 과일이라면 열에 아홉은 수박을 떠올릴 것이다. 과일 대다수가 수분 함량이 높지만…

북, 제로에너지온실 채소재배 세계흐름 나란히

세계가 제로에너지, 탄소제로를 지향해 나가고 있는 지금, 이에 발 맞추어 북(조선)에서는 ‘령에네르기'(제로에너지)온실인 반궁륭식2중박막온실들이 요즈음 추세이다. 지난해 12월에 준공된 중평남새온실농장의 반궁륭식2중박막온실이 대표적인데 온실은 석탄도 전기도 그 어떤 연료도 소비하지 않는 순수 태양에너지만으로 채소생산을 보장하는 에너지절약형태양열온실이다. 낮동안에…

북, 농약없는 우렁이유기농법으로 높은 꿀맛 쌀 생산성 보장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4년 전국 농업 부문 분조장 대회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유기농법을 적극 장려현지지도> 북의 농촌들에서 우렁이유기농법을 전국가적으로 널리 도입하고있다. 8일자 조선중앙통신은 이 농법이 물속에서 풀을 먹으며 자라는 우렁이의 생물학적특성을 이용하여 벼농사를 화학비료와 농약을 쓰지…

NASA 허블, 6700만 광년 거리 나선은하 포착

사진, NASA가 허블망원경으로 포착한 양털나선은하   양털 구름처럼 생긴 은하가 허블 우주망원경에 포착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일(현지시간) 지구에서 게자리 방향으로 약 6700만 광년 거리에 있는 나선은하를 허블 망원경으로 선명하게 포착한 최신 이미지를 공개했다. ‘NGC 2275’라는 공식 명칭을…

북은 지금 교육용로보트를 상용하는 중

북은 지금 교육용로보트를 상용하는 중 평양교원대학에서 연구제작한 교육용로보트가 유치원어린이들과 소학교학생들의 주의력과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높은 교수효과를 얻을수 있게 하는 실용성있는 교수수단이라고 조선의 매체들이 소개하네요. 화상인식기술과 음성인식기술, 인공지능기술이 도입된 이 로보트는 학습자와 서로 언어적수단에 의한 의사교환을 진행하면서…

수삼나무(메타세콰이어) 가로수길

  평양의 신서다리부터 동성다리까지 이어지는 서성거리에는 가로수  수삼나무(메타세콰이어) 가 울창하여 시원한 여름거리를 선사하며 뻗어 있다. 천리마거리쪽은 주로 은행나무들이 무성하여 노랗게 물든 은행잎들로 가을거리가 황홀한데 창광원에서 마주보이는 이 길은 은행나무와 함께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수삼나무가 무더운…

생태 백신과 보물산

현장언론 민플러스에서 북의 정치를 연구하며 그 연구내용을 연재하고 있다.  6월 29일자 연구내용을 소개한다. 생태백신과 보물산 금강산생태보호구의 어린 섬참새   이태원 클럽발 수도권 코로나 재확산으로 온 나라에 근심이 가득하다. 가을에 2차 감염이 대유행할 것이라는 뜬소문이, 이제는…

북, 새로 관찰된 겨울새 <꽃진경이>

학명 Tadorna tadorna, 북에서 새로 관찰된 겨울새를 <꽃진경이>라 이름 지어 주었네요. 남에서는 <혹부리오리>라고 불리고 있군요. 북에서 첫 람사르대상지로,동아시아-오세안주철새이동경로지역망에 등록된 문덕철새보호구의 여도에서 얼마전 겨울새로 알려진 꽃진경이(Tadorna tadorna)의 번식활동이 처음으로 관찰되었다고 보도 했군요. 국가과학원 생물다양성연구소 실장은 지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