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흙탕속에 잠겼던 검덕땅에 흰눈이 내렸다.

검덕땅에 흰눈이 내렸다. 아담한 살림집들의 지붕에도 불빛밝은 거리의 나무가지에도 소복이 내려 쌓이며 겨울의 정서를 더해주는 설경을 검덕지구민들은 흐르는 눈물과 함께 후끈하게 맞았다. 함경남도 검덕지구는 대규모광물생산기지로서 동아시아 최대 연-아연 광산이 있으며 50여종의 광석광물 및 비광석광물이 나는…

< 백두산대학 > 1년동안에 8만 4,000여명

‘백두의 혁명정신을 가슴마다에 새겨안으며’라는 소제목으로 조선신보가 더욱 고조된 백두산에로의 답사열풍이 거세다며 1년동안에 8만 4,000여명이 답사했다고 기사를 게재하였다. 신보에 따르면 김정은위원장의 작년 12월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들에 대한 역사적인 군마행군을 단행 때로부터 1년동안에 1,900여개의 단체에 8만 4,000여명의 일군들과…

검찰개혁촉구 시국 선언 천주교 이어 원불교 9일

천주교에 이어 불교계 원불교가 9일 검찰개혁 시국선언을 한다. 원불교는 아래와 같이 자료를 배포하며 보도를 의뢰 했다. 수신 : 각 언론사 사회부 발신 : 사회개벽교무단 (담당 : 원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강현욱 교무, 010-6732-4438) 제목 : [보도협조]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고려시대 여성들의 지위

가족제도를 통해 본 고려시대 여성들의 지위​​ 고려시대에 가족제도를 보면 남성못지 않게 여성들이 상당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고려시대 결혼생활은 처가살이가 일반적인 것으로 되어있었다. 그러므로 여성들은 가족내에서 응당 무시할 수 없는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국가보안법은 일본, 미국, 토착왜구의 합작품

평화이음이 월간 ‘민족과 통일’ 12월호를 발간했습니다. 우리사회와 코리아반도 정세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소개합니다. 국가보안법은 일본, 미국, 토착왜구의 합작품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의 탄생 국가보안법은 1948년 12월 1일 제정되었다. 국가보안법은 해방 이후 이념 갈등이 심각해지는…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천주교 사제· 수도자 1천인 선언, 7일은 3951명 시국선언

검찰개혁 촉구와 정치검찰 행태에 대한 각계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종교계는 물론 학계, 시민사회단체가 총망라해 나서고 있고 ‘검찰총장 윤석열 해임과 처벌을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도 등장했다. 우선 종교계가 발벗고 나섰다. 가톨릭 사제와 수도자 1000명이 인권주일을 앞두고…

< 지금 북(조선)은 > 일요사회통신 2020.12.6

< 지금 북(조선)은 > 일요사회통신 2020.12.6 1.교육연구원, 새로운 교육방법 연구도입 – 코로나19 장기화에 대응 교육연구원에서 새롭고 실리있는 교육방법을 창조하기 위한 사업을 활발히 벌려 성과를 거두고있다. 이곳 일군들과 연구사들은 비상방역사업이 장기성을 띠는데 맞게 보통교육부문 학생들이 안내수업과…

각계각층, 72년된 국가보안법 폐지는 시대의 요구

국가보안법은 세계인권선언에 반하는 반인권적인 악법이다. 72년전,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 제정되었다. 각계는 아래와 같이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했다.   국가보안법 제정일인 12월 1일, 각계에서 기자회견과 성명을 통해 국가보안법 폐지를 촉구했다. 민주노총은 1일 성명 ‘72년째 살아 있는…

북, “프로그램 기억방식 컴퓨터 설계한 수학자 노이만”

현대 컴퓨터의 아버지로 불리는 존 폰 노이만에 대해 북에서 자세히 배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NK경제는 북 과학백과사전출판사가 편찬한 조선대백과사전(스마트폰용) 중 ‘존 폰 노이만’과 ‘노이만형컴퓨터’에 관한 내용을 확인했다. 사전은 존 폰 노이만이 헝가리 태생의 미국 수학자로…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할 11가지 이유

<국가보안법 7조부터 폐지운동 시민연대>가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할 11가지 이유를 아래와 같이 발표했다.   ▲ ‘국가보안법 7조부터 폐지운동 시민연대’가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있다.[사진 : 시민연대 제공] 국가보안법을 폐지해야 할 11가지 이유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치안유지법(1941년 시행)은…